이보드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셀프 단열공사 #6 - 페인트칠과 마무리 이보드 작업이 끝났으니 이제 거의 힘든 건 다 끝났다고 생각했다. 이때 난 "페인트칠쯤이야, 나 미술 전공했는데 물감이랑 친하니 페인트랑도 금세 친해지겠지~"라는 커다란 착각에 빠져있었다. 실리콘 쏘기 먼저 페인트칠을 하기 전에 실리콘 작업을 했다. 벽과 벽의 이음새, 벽과 창문 몰딩의 이음새, 벽과 바닥의 이음새, 벽과 천장의 이음새, 벽과 천장 몰딩의 이음새 등... 퍼티로 작업을 하긴 했지만 좀 더 깔끔한 마무리를 위해서 실리콘을 쏴줬다. 생각해보니 실리콘 치는게 제일 쉽고 재밌었다. ^^ 구매할 것 - 곰팡이 방지용 바이오 실리콘 - 페인트 도장용 아크릴 실리콘 - 실리컨 건 - 헤라 (선택) 곰팡이 방지용 바이오 실리콘은 바닥과 벽이 만나는 틈에 쏘기 위해서고, 그 외 페인트칠을 할 곳에는 아크.. 셀프 단열공사 #5 - 이보드 붙이기 셀프 단열공사 기록을 마무리해야지. 오랜만에 이어지는 셀프 단열공사 5편이다. #4에서 덤프록 칠하기까지 했었다. 반드시 페인트 덤프록 2회 칠해준 다음 완벽히 말린 후에 단열재를 부착해야 한다. 📝 이보드(단열재) 부착 준비물 이보드를 뭘로 부착하느냐에 대해서도 정말 많은 검색을 했었다. 본드 종류와 후기, 해외 리뷰까지 찾아본 다음에 폼본드와 우레탄폼으로 결정했다. 내가 찾아본 결과로는 폼본드와 우레탄폼으로 충분히 매우 아주 강력하게 잘 붙었고 실제로도 잘 붙어있다 ^^ 우레탄폼과 폼클리너, 폼건은 이전에 벽면 크랙을 메울 때 사용했던 것을 그대로 재사용했다. 여기에 추가로 폼본드, 폼본드에 연결할 폼건 하나 더, 이 폼건에 연결해둘 폼클리너 하나 더 있으면 된다. 폼건 하나로 우레탄폼과 폼본드 돌려.. 이전 1 다음